'논두렁 태우기' 해충 방제에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
1990년대~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병해충 예방 목적으로 논두렁 태우기 많이 했었다.
정월 대보름 전후해서 논두렁 태우기를 했다.
요즘은 가뭄으로 건조해서 산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금하고 있다.
전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논두렁 태우기가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2년동안(2020~2021년) 논과 논두렁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논과 논두렁에는
멸구류 등 해충은4.9~9.1%로 수준이고, 거미류 등 익충의 비율은 90%이상으로 높았다.
논두렁 태우기 결과는 익충의 90%이상이 사멸 했을 뿐이다.
벼 이앙 직후인 5월 하순부터 수확기인 10월 중하순까지 해충 발생 추이를 분석 한 결과
일반 농지와 친환경 농지 모두 태운 곳과 태우지 않은 곳의 해충 발생은 큰 차이가 없었다.
참고 : 해충 6종 :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먹노린재, 벼물바구미
대상 해충 | 해충 발생 밀도(마리/주) | |||||||
소각 | 비소각 | |||||||
익산 | 완주Ⅰ | 완주Ⅱ | 익산 | 완주 | 완주Ⅱ | |||
분 얼 기 |
벼물바구미 | 0.02±0.02 | 0.02±0.02 | 0.08±0.04 | 0.00±0.0 | 0.10±0.04 | 0.02±0.02 | |
먹노린재 | 0.00±0.00 | 0.00±0.00 | 0.02±0.02 | 0.00±0.0 | 0.00±0.00 | 0.00±0.00 | ||
애멸구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 | 0.00±0.00 | 0.00±0.00 | ||
출 수 기 |
벼물바구미 | 0.06±0.02 | 0.02±0.02 | 0.00±0.00 | 0.01±0.0 | 0.03±0.04 | 0.00±0.00 | |
먹노린재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 | 0.00±0.00 | 0.00±0.00 | ||
멸구류 | 0.21±0.04 | 1.36±0.00 | 2.21±0.08 | 0.58±0.30 | 1.81±0.05 | 0.20±0.05 | ||
혹명나방 (피해엽율,%) |
2.34±0.72 | 2.21±0.76 | 2.23±0.76 | 2.66±0.63 | 3.72±0.89 | 1.20±0.47 | ||
수 확 기 |
벼물바구미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
먹노린재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
멸구류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
혹명나방 (피해엽율,%) |
0.42±0.24 | 0.64±0.34 | 0.39±0.24 | 0.43±0.20 | 0.21±0.15 | 0.43±0.19 |
※ 20주당 발생마리 수 육안조사, 조사구당 3반복
결론
논두렁 태우기 해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익충만 사멸 할 뿐 작물에 해가 되는 해충은 박멸이 되지 않는다.
논두렁 태우는 시기는 건기라서 산불 위험이 매우 크다.
반응형
'농업을 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업계의 판매 전략 변화 / 단 품종 진열 저렴 판매 ↠ 다 품종 진열 프리미엄 판매 (0) | 2022.04.02 |
---|---|
꿀벌 실종 사건의 조사결과가 나왔어요. (0) | 2022.03.24 |
가뭄이 이어지는 지금 마늘/양파 작물에 물비료 주세요. (0) | 2022.02.25 |
2월은 튼실한 마늘과 양파를 얻을려면 반드시 웃거름 주세요. (0) | 2022.02.16 |
2~3월은 벼농사 준비 기간이다. (0)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