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을 담다

'논두렁 태우기' 해충 방제 효과 없다.

'논두렁 태우기' 해충 방제에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

1990년대~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병해충 예방 목적으로 논두렁 태우기 많이 했었다.

정월 대보름 전후해서 논두렁 태우기를 했다.

요즘은 가뭄으로 건조해서 산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금하고 있다.

 

전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논두렁 태우기가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2년동안(2020~2021년) 논과 논두렁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논과 논두렁에는

멸구류 등 해충은4.9~9.1%로 수준이고, 거미류 등 익충의 비율은 90%이상으로 높았다.

논두렁 태우기 결과는 익충의 90%이상이 사멸 했을 뿐이다.

 

벼 이앙 직후인 5월 하순부터 수확기인 10월 중하순까지 해충 발생 추이를 분석 한 결과

일반 농지와 친환경 농지 모두 태운 곳과 태우지 않은 곳의 해충 발생은 큰 차이가 없었다.

참고 : 해충 6종 :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먹노린재, 벼물바구미

 

출처 : 국립농업과학원 보도자료 22. 2. 22.

대상 해충 해충 발생 밀도(마리/)
소각
비소각
익산 완주 완주
익산 완주 완주


벼물바구미 0.02±0.02 0.02±0.02 0.08±0.04
0.00±0.0 0.10±0.04 0.02±0.02
먹노린재 0.00±0.00 0.00±0.00 0.02±0.02
0.00±0.0 0.00±0.00 0.00±0.00
애멸구 0.00±0.00 0.00±0.00 0.00±0.00
0.00±0.0 0.00±0.00 0.00±0.00


벼물바구미 0.06±0.02 0.02±0.02 0.00±0.00
0.01±0.0 0.03±0.04 0.00±0.00
먹노린재 0.00±0.00 0.00±0.00 0.00±0.00
0.00±0.0 0.00±0.00 0.00±0.00
멸구류 0.21±0.04 1.36±0.00 2.21±0.08
0.58±0.30 1.81±0.05 0.20±0.05
혹명나방
(피해엽율,%)
2.34±0.72 2.21±0.76 2.23±0.76
2.66±0.63 3.72±0.89 1.20±0.47


벼물바구미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먹노린재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멸구류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혹명나방
(피해엽율,%)
0.42±0.24 0.64±0.34 0.39±0.24
0.43±0.20 0.21±0.15 0.43±0.19

20주당 발생마리 수 육안조사, 조사구당 3반복

 
결론
논두렁 태우기 해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익충만 사멸 할 뿐 작물에 해가 되는 해충은 박멸이 되지 않는다.
논두렁 태우는 시기는 건기라서 산불 위험이 매우 크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