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푸드마일리지

5월 로컬푸드매장에서 판매 되는 우리 농산물 "죽순" 5월이 되면서 들녘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로컬푸드 매장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5월 ~ 6월이면 한정 기간에만 매장에서 볼 수 있는 것이 대나무의 순인 죽순이다. 사천농협에서 판매하는 죽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죽순의 상태 한번 삶은 상태 임. 죽순을 삶아서 포장하는 이유 죽순은 껍질을 벗기고, 보관을 하면 금방 억새 진다. 즉, 질겨지는 것도 막고, 독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한번 삶아서 포장을 한다. 죽순의 길이는? 죽순의 길이는 약 10~15 전후 정도 된다고 보면 된다. 포장 방법 죽순은 다량의 수분을 머금고 있기에 밑바닥에 스티로폼 소재의 받침 접시에 담아서 포장을 한다. 수분이 있는 농산물을 포장할 때 스티로폼 접시를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깔끔하게 포장할 수 있다. 포장 중량 현.. 더보기
푸드 마일리지(food milelage)를 아시나요? Do you know food mileage? 당신은 푸드 마일리지를 아시나요? 영국의 소비자 운동가인 Time lang(팀랭)이 처음 착안하여 사용한 용어(단어)라고 한다. '식품이 생산된 곳에서 일반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거리'를 의미한다. 계산식 푸드 마일리지 = 식품의 양(t) X 이동거리(km) 수입농산물인 경우 수입농산물 푸드 마일리지 = 수입 농산물 량(t) X 수출입국 간의 수송거리(km) 푸드 마일리지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식품의 이동 량이 많다 + 수송거리가 길다는 뜻이다. 많은 양의 옮기기 위해서는 큰 중장비를 이용해야 하고, 긴 시간을 이동해야 하니 다양한 기계 이용으로 인해 탄소배출량이 높아지게 된다. 멀리서 온 음식은 안전 한가? 식료품의 장기 저장기술 발전과 이동수단.. 더보기
로컬푸드란? 로컬푸드(local food)라는 단어를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보거나 들어 보았을 것이다. 특히나, 지역 농협마트에 가게 되면 매장 일부분에 따로 마련된 로컬푸드 매장이라고 마련된 공간이 곳곳에 보일 것이다. 로컬푸드는 그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장거리 수송과 중간의 유통단계를 거치지 않은 그 지역 내에서 생산된 농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범위는 그 나라의 실정이나 사람마다 다르게 규정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행정구역상 도(道 / 길 도), 시(市 / 저자 시), 군(郡 /고을 군) 등 경계 내로 정하는 것이 일반 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사항 나라별 공간 범위 영국(U.K, United Kingdom, 英國) : 반경 48km 이내-(출처 : National Associa..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