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 | 건강 | 음식

11월 생산 된 먹거리 쌀 쌀의 기원재배벼의 기원은 인도기원설, 중국기원서, 동남아기원설이 있다. 쌀 구입 요령쌀알은 광택이 나고, 균일한 크기의 쌀이 좋은 쌀이다.쌀알에 금이 간 게 없어야 하고, 부스러진 쌀이 없어야 한다.찹쌀처럼 흰색을 띄거나 부분적으로 흰색이 안 보이는 것이 좋다.도정한지 얼마 되지 않은 쌀을 구매해야 한다. 구입한 쌀 보관법밀봉은 필수적이다.직사광선(햇빛)이 들지 않는곳이며,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한다.(평균10~15℃) 영양성분쌀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미네랄 등 여러가지의 영양성분이 존재한다.쌀눈에는 비타민, 미네랄, 리놀레산, 페룰산 등이 풍부쌀겨에는 섬유질, 식물성 지방이 함유 소비량현재 식습관이 바뀌게 되고, 식문화의 변화에 따라 쌀 소비량은 해마다 줄어 들고 있다.예전에는 밥을 먹.. 더보기
'오가피 열매' 고혈압에 좋다?! 오가피는 산에만 가도 쉽게 볼수 있는 약용작물 중 하나이며,잎모양이 산삼과 비슷하여 오해도 많이 받은 작물 중 하나다.우리 주위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작물이기에 건강식품으로 사랑 받고 있는 먹거리다. 대한민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에서도 서식하고 있다.대략 2m까지 자랄 수 있으며, 9월~10월사이 열매가 맺힌다.열매가 다 익으면 검정색으로 변한다. 오가피는 약재로 주로 쓰인다.혈액순환을 돕고, 면역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있기 때문에 열이 많은 체질이라면 주의 해서 먹는게 좋다. 2019년 9월 26일 농촌진흥청 보도 자료에 따르면오가피 열매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발표하였다.자세한 사항은 보도자료에서 확인하기 바람https://www.rda... 더보기
겨울의 대명사 간식 고구마 영양소 성분 효능 고구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단백질,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다. 식사대용이 가능한 작물 겨울철이면 간식의 대명사로 꼽는 것이 고구마지 않을까? 생일 때는 굵고, 단단하며, 익히면 부드러우며 단맛을 뿜어 내는 것이 고구마다. 고구마의 구성성분 중 60% 이상이 수분으로 이뤄져 있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 식이섬유, 칼륨, 비타민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나트륨 배출에는 고구마가 도움. 고구마에도 칼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 나트륨(Na)을 배출시켜 혈압강하에도 효과적이다. 참고로, 수박이나 바나나 또한 칼륨이 함유되어 있어 배출에 도움이 된다. 주의점 칼륨 배출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지, 한꺼번에 많이 먹는다고, 배출이 더 잘 되는 건 아니다. 꾸준히 먹는 게 중요하다는 .. 더보기
숙주와 콩나물의 차이를 아시나요? 숙주와 콩나물의 차이를 아시나요? 우리의 식탁에 자주 올라 오는 나물 중 하나가 콩나물과 숙주나물이다. 또한 국밥을 먹을 때, 들어 있는 것도 콩나물과 숙주다.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는데, 자세한 따지고 보면 묘하게 다르게 보인다. Q. 콩나물과 숙주나물의 외관상 차이가 있나요? 두 나물의 대가리라고 할 수 있는 노란 부분의 모양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 콩나물은 콩 모양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단단하다. 반면 숙주나물은 새싹이 나듯 어린잎 모양을 하고 있다. Q. 콩나물과 숙주나물 조리법의 차이가 있나요? 콩나물은 단단하고, 약간의 질긴 식감을 가지고 있어서 데쳐서 무치거나, 국으로 끓여 먹는다. 숙주나물은 아삭한 식감으로 무침이나 빈대떡 부재료로 이용한다. Q..영양분의 차이가 있나요? 무엇보다 차이가.. 더보기
제품의 유통기한이 사라진다? 제품의 유통기한이 사라진다? 유통기한이 없어지면, 어떻게 될까? 제품을 구매할 때 상당히 불편하지 않을까? 유통기한이란 믿음의 약속이다. 이 기간만큼은 상한 음식이 아니니 걱정 안 해도 된다는 일종의 보증서 같은 것이다. 내년(2023년)이면 유통기한 표기된 제품은 보기 힘들 것이다. 대신, 2023년 1월 1일 부터 소비기한이라는 새로운 표기로 바뀔 것이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점 쉽게 말해 유통기한은 마트에서 제품을 구매해도 문제가 없는 기한이다. 반대로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해서 먹어도 문제가 없는 기한을 뜻한다. 유통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먹어도 몸에는 문제는 없지만, 판매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비 가능한 기한으로 오인되기 쉽다. 유통가능(판매 가능) 기한이 상대적으.. 더보기
정크푸드란 정크푸드란 'JUNK'라는 의미는 쓸모없는 물건, 쓰레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Junk' + 'Food' 우리 몸에는 좋을지 몰라도 모에는 좋지 않은 음식을 직설적으로 표현해 정크 음식 또는 쓰레기 음식이라고 표현한다. 영양적 측면에서 보면, 열량은 월등히 높으나,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가 상당히 낮은 음식을 지칭 하는 말이기도 하다. 가난으로 인해 하루 하루 배를 골지 않기를 원하고, 적은 양으로 고열량을 내는 정크푸드는 좋은 음식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는 어떠한가 하루 한끼도 먹기 힘들어 하루하루 배를 곯거나, 먹을 게 없어서 걱정하는 세대가 아니다. 그렇다면 식생활도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잦은 고열량 음식 섭취로 인해 우리는 몸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각종 성인병의 발병 요.. 더보기
커피가 좋은 이유... 커피는 정말 악마의 선물이다. 커피가 우리 몸에 좋은가? 나쁜가? 에 대한 논쟁은 100여 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연구라는 것이 나쁜 점에 초점을 맞추면 나쁜 점만이 극대화될 것이고, 좋은 점에 초점을 맞추면 좋은 점만이 극대화될 것이다. 내가 내린 결론은 독도 잘 쓰면 약이 되듯, 아무리 좋은 약도 과하게 쓰면 되고, 독이라고 생각했던 것도 누가 어떻게 적정한 량을 쓰느냐에 따라 생명을 구하는 훌륭한 약이 되듯, 모든 음식에는 절제가 필요할 것이다. 커피는 사랑스러운 연인과 같다. 아침잠에서 깨어나게 되면, 사랑하는 연인을 찾게 되듯, 찾게 되는 것이 바로 커피(coffee)다. 커피가 되기까지는 여러 과정을 거친다. 열매를 생산하고, 수확하고, 건조하고, 로스팅하고, 갈고, 또 뜨거운 물로 추출하는.. 더보기
알아두면 좋은 약과 음식의 궁합 알아두면 좋은 약과 음식의 궁합 우리는 음식은 궁합을 한 번씩 생각해 보고 주의 하기도 하지만, 약과 음식의 궁합은 어떨까? 약을 복용(약을 먹음)할 때, 어떤 음식과 함께 먹느냐에 따라 약의 효과가 극대화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약의 효과를 반감시키기도 한다. 항생제 복용시 유제품은 피하라! 우유나 유제품 자체는 좋은 식품이다. 하지만, 우유는 장용정(腸溶錠, enteric coating tabl)의 흐름을 저해한다. 장용정이란 위가 아닌 장에서 약효가 발효될 수 있게 코팅된 약이다. 약알칼리성인 우유는 위산을 중화시켜 약의 코팅막을 손상시켜 약효가 떨어지거나 위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위경련이 이나 속 쓰림을 일으킬 수 있다. 또는 속 쓰린 증상으로 제산제를 먹었다면, 바로 항생제를 먹지 말고, 약 1시..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