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농업] 종자 신청 사전준비 하기- 감자 겨울이 온다고 쉬는게 아니고,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우량종자를 준비 해야 한다.약제 및 전용비료도 미리 제고 확인하고 준비하여야 한다.  만약 종자를 자가채종 종자를 사용 할 경우이형립, 손상립, 이물이 섞이지 않도록 정선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종자 수명 & 활력유지 할려면...가장 중요한것이 저장온도 및 습도다.이거만 잘 지켜도 수명은 길어진다. 보관시 쥐 등 피해를 받지 않도록 관리 해야 한다. 봄감자 보급종 종자 신청 더보기
겨울 무 구멍이 생기는 이유! 가을에 김장을 하기 위해서 배추도 심고 무도 파종하고 했을 것이다. 이제는 김장을 하기 위해서 배추와 무를 수확하는 곳이 많다.  그중 무를 수확하고 반을 잘랐을때 속이 빈 무가 한 두개씩 섞여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붕소 결핍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무에 튼살처럼 보이는 현상 또한 붕소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니 참고 해보면 좋을듯 하다. 미량원소이기 때문에 많은 양이 필요 하진 않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원소 중 하나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작물을 심기 전에는 붕소를 살포하는게 좋고,과일이나 채소를 단단하게 하기 위해서 붕소를 엽면 살포하기도 한다.다만, 너무 많이 주면 생육을 저해 하기 때문에 미량만 사용해야 한다는 꼭 명심하자. 더보기
2025년도 유기질 비료 신청 시즌 각 지자체마다 시일과 지원금이 다를 수는 있지만, 거의 비슷한 시기 신청을 받고 있다. 11월 중순 부터 12월 초까지  2025년도 분을 신청을 받고 있다. 유기질비료란쉽게말해 가축분과 톱밥등을 혼합해서 만든 퇴비라고 생각하면 된다. 쉽게 말해예전에는 가축을 집집마다 키웠기 때문에 그걸 다시 농사를 짓는 용도로 사용 했지만, 소나 가축을 키우지 않게 되면서 시판용으로 구매해서 쓰게 되었다. 그게 쉽게 말해 유기질 비료인 셈이다.  유기질 비료는 정부보조금을 지원 받아서 구매 할수 있기 때문에  좀더 저렴하게 받을 수 있다. 정부 보조금을 지원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농업경영체 등록이 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농지가 있는 곳의 이장님에게 문의 하시거나 행정복지센터로 문의 하면 된다. 농.. 더보기
벼 보급종 신청 기한 알기 2025년 사용할 볍씨지금 부터 준비 시즌이다.벼 보급종은 해당 지역마다 공급되는 품종과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기간 내에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신청을 하면 된다. 공고시한 : 24. 11. 20.시도단위(읍면동) : 24. 11. 22. ~ 12. 20.전국단위 신청기간 : 25. 1. 3. ~ 1. 28.공급시기 : 25. 1. 10. ~ 3. 31. 해당 자료는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 46호 (2024.11.11.~11.17.) 에서 인용함. 더보기
'오가피 열매' 고혈압에 좋다?! 오가피는 산에만 가도 쉽게 볼수 있는 약용작물 중 하나이며,잎모양이 산삼과 비슷하여 오해도 많이 받은 작물 중 하나다.우리 주위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작물이기에 건강식품으로 사랑 받고 있는 먹거리다. 대한민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에서도 서식하고 있다.대략 2m까지 자랄 수 있으며, 9월~10월사이 열매가 맺힌다.열매가 다 익으면 검정색으로 변한다. 오가피는 약재로 주로 쓰인다.혈액순환을 돕고, 면역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있기 때문에 열이 많은 체질이라면 주의 해서 먹는게 좋다. 2019년 9월 26일 농촌진흥청 보도 자료에 따르면오가피 열매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발표하였다.자세한 사항은 보도자료에서 확인하기 바람https://www.rda... 더보기
겨울철 올바른 관리가 농기계 수명을 늘린다. 어느덧 절기상 입동이 되었다.한창 사용하던 농기계를 한동안 보관을 해야 하는 시기가 되었다.겨울철에 보관할 때 적정 부동액 사용, 각 부품 정비및 윤활유 체크하여 동파 및 부식을 방지 하여야 농기계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다. 농한기 기계 보관법1. 물세척이나 에어건을 이용 해 꼼꼼히 청소하라!평소에 물세척이나 에어건을 이용해서 흙먼지를 제거를 수시로 하는게 좋다. 특히 농한기에 들어감에 따라  몇개월간 사용하지 않는 농기계는 더더욱 꼼꼼히 세척을 해야한다. 물로 세척해야 하는 이유!우리가 사용하는 농기계는 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흙속에는 다양한 유기물이 존재 한다. 특히, 흙속에는 철분이 많은데 부식을 촉진 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기계에 달라 붙은 흙을 제거 하는게 중요하다.또한 흙이나 돌멩이.. 더보기
2024 로컬푸드 직매장 출하자 보수교육 다녀 왔어요! 일시 2024년 4월 2일 장소 사천농협 교육시간 10시 시작 11시 40분 종료 매년 열리던 출하자 교육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서 진행되지 못하다가 이번에 다시 진행 되었다. 교육내용은 농산물 출하 시 주의점과 소비자자의 불만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개선해 줄 것을 강조했다. 또한 어디서나 문제가 되는 속박이 포장할 때 위에는 좋은걸 아래에는 작은 크기를 넣어서 포장하는 방식을 하지 말라는 것! 이건 어디 가나 강조되는 사항이다. 양보다는 질! 대게 농민들은 상품성이 없는 것도 양을 늘리거나 싸게 하면 팔릴 거라 생각하고, 출하를 하는데, 하지 말라는 것이다. 공짜로 주면 모를까 돈 주고 사 먹으러 오는 사람인데, 지속적으로 그렇게 하면 다른 물품의 등급도 낮아지니 이런 행위는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더보기
2023년도산 공공비축미 매입가 40kg 7만 120원 확정 2023년산 공공비축미 매입단가 벼 40kg 기준 7만 120원(포대벼 1등급)으로 결정 됐다. 2022년산 6만 4530원과 비교 해 5590원 올랐다. 농식품부는 올해 4월 6일 민당정 간담회를 통해 수확기 쌀값이 20만원 수준이 되도록 수급관리 대책을 추진 하겠다고 선언했다. 2021년산 쌀은 20만톤이 넘는 초과 생산량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뒤늦은 시장격리로 인해 2021년 10월 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6만원 대까지 떨어졌다. 정부 출범 이후 첫 수확기 대책으로 22년산 쌀에 대해 사상 최대규모인 90만톤 정부 매입계획을 발표(22. 09.25)한 바 있다. 쌀값을 반등 시켰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수급관리로 올해 9월에 20만원대로 회복시켜 2023년 수확기 쌀값을 뒤받침 하..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