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you know food mileage?
당신은 푸드 마일리지를 아시나요?
영국의 소비자 운동가인 Time lang(팀랭)이 처음 착안하여 사용한 용어(단어)라고 한다.
'식품이 생산된 곳에서 일반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거리'를 의미한다.
계산식
푸드 마일리지 = 식품의 양(t) X 이동거리(km)
수입농산물인 경우
수입농산물 푸드 마일리지 = 수입 농산물 량(t) X 수출입국 간의 수송거리(km)
푸드 마일리지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식품의 이동 량이 많다 + 수송거리가 길다는 뜻이다.
많은 양의 옮기기 위해서는 큰 중장비를 이용해야 하고, 긴 시간을 이동해야 하니 다양한 기계 이용으로 인해 탄소배출량이 높아지게 된다.
멀리서 온 음식은 안전 한가?
식료품의 장기 저장기술 발전과 이동수단이 발달 함에 따라 특정 지역에만 재배 생산되는 농작물 혹은 식료품을 전 세계 상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한 나라(지역)에서 저렴하게 구매하여 수송수단(선박, 비행기, 육로수송) 등으로 대량 운반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먹거리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단점이라면,
생산지보다는 신선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방부제 처리를 해야 하는 식재료가 존재 하기에 건강에 좋은 일을 없을 것이다.
좀 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수송기(비행기), 수송선(선박), 트럭 등 이용으로 다량의 탄소를 배출하게 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될 수 있다.
반응형
'LOCAL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컬푸드 취급 품목이란 (0) | 2020.12.28 |
---|---|
로컬푸드의 기본원칙 (0) | 2020.12.28 |
로컬푸드의 장점&단점 (0) | 2020.12.28 |
나도 "로컬푸드직매장"에 출하 하고 싶어요! (0) | 2020.07.12 |
로컬푸드란?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