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파

마늘/ 양파 녹병, 노균병 방제 작업하세요! 올해는 잦은 비와 고온이 지속이 되고 있다.11월인 지금도 잦은비와 낮시간은 따뜻하다 못해 덥다. 그렇기 때문에 녹병/노균병 살균제를 살포를 해주는것이 좋다. 올해는 특이 케이스이기때문에 하는 것이지 매면 이 시기에 하는 것은 아니다.비가 자주 오는 해이거나 고온다습이 지속되는 경우하라는 뜻이니 참고 하면 좋을것이다.  어느시기에 농약방제를 해야 할지 모를때는 농약회사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좋다. 각 농약 회사 홈페이지에는 작물별로 농약 사용시기와 사용약제가 나와 있어서 좀더 선택 폭이 넓으니 참고 해 보길 바란다. 또한 농업 관련은 농촌진흥청 자료를 많이 참고 하면 도움이 많이 되니 검색 해서 꼭 보길 바란다. 더보기
늦은 11월 마늘 | 양파 파종 시...주의점 대게 마늘을 9월 말부터 심기 시작해서 10월이면 마무리를 한다. 하지만, 벼농사로 인해서 시기가 늦어질 경우가 있는데.이런 경우배수로 일단 잘 정비 해야 한다. 과습이 되면 마늘종구나 양파 모종이 습해를 입어서 약해지기 때문에 양쪽은 깊은 골을 내서 언제든 배수가 잘 되게 끔 해야하고, 이작업은 내년 봄인 4~5월 또는 장마 직전 까지 유용하게 작용하니 반드시 배수로를 필수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논에 양파를 심을 경우 시기적으로 많이 늦기 때문에 부직포를 덮어서 보온을 해 줘야 자람이 좋아지니 참고 하길 바란다. 더 자세한 내용은 농촌진흥청 자료를 참고 하길 바란다. 더보기
가뭄이 이어지는 지금 마늘/양파 작물에 물비료 주세요. 가뭄기가 예상외로 길어지고 있다. 남부 지방에는 비나 눈이 제대로 온 적이 없어 상당히 건조한 상태다. 그 결과 노지에 심은 마늘과 양파는 제대로 생육을 하지 못하고 말라 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나 건조기가 오래 됨에 따라 물 수위가 낮아지고, 설사 물이 있다고 해도 평년 기온이 낮아서 물을 대기도 쉽지 않은 게 실정이다. 물을 댈 수 있는 시설이 있다면, 물을 대 주는 것이 마늘과 양파 생육에 도움이 된다. 이 또한 힘들다면 분무기를 이용해서 알비료를 녹여서 살포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본인도 물조리를 이용해서 물을 여러번 줘 봤지만, 워낙 땅이 바짝 말라 있어서 솔직히 표도 안 나는 게 현실이다. 뿌리로 양분 흡수가 어려울때 엽면시비를 통해서 양분을 공급하는데 지금처럼 건조할 때 효과는 덜 하겠지만 .. 더보기
2월은 튼실한 마늘과 양파를 얻을려면 반드시 웃거름 주세요. 2월은 잠시 주춤했던 마늘과 양파의 생육이 다시 시작하는 시기다. 겨울에 눈이나 비가 내릴때, 웃거름을 줌으로써 생육에 유리하게 만들어 준다. 지역 상태에 따라 비료량을 조절하여 주는 것이 좋다. 눈이나 비가 올 때는 고형비료를 준다. 올해 처럼 건조 건조기가 장시간 이어지고, 눈비조차 오지 않을 땐 물에 녹여 주면 비료의 손실도 줄일 수 있고 비료의 효율이 높아진다. 양파 10a(300평) 기준 요소비료 17Kg / 황산가리8.7Kg 마늘 10a(300평) 기준 요소비료 17Kg / 황산가리9.7Kg 양파 노균병 예방 늦은 파종으로 뿌리가 건실하지 못해 연약하게 자란 양파이거나 배수불량으로 습한환경이 오래 지속되면 노균병 발생이 잦아진다. 특히, 월동 직후 기온이 올라가면서 안개가 잦거나 비가 자주 내.. 더보기
혈관 청소부의 대표주자 '양파' 우리 혈관을 깨끗하게 해주는 대표주자는 단연 '양파'를 뽑을 수 있을 것이다. 양파의 90%는 수분으로 이뤄져 있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C, 칼슘, 인, 철 등이 함유되어 있다.(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양파는 눈을 맵게 하는 유황화합물이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 화합물은 열을 가하면 이부가 환원되어 프로필메캅탄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 물질은 설탕의 50배나 되는 단맛을 낸다. 설탕 대용으로 양파를 식품에 이용된다. ■ 양파 고르기 좋은 양파는 껍질이 잘 마르고 색이 선명한 것을 선택하고, 이왕이면 둥근 모양이면 좋다. 또한, 양파전체가 딱딱한(단단한) 해야 하고, 겉면에 상처나 무르게 없어야 한다. 양파를 들었을 때 무게감이 있는 것이 좋다. 싹이 난 양파는 푸석거리고 속이 빈 경우가 많으니..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