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산물

검은콩(서리태) 바로 알기 검은깨, 흑미와 함께 대표적인 블랙푸드(Black Food)로 꼽히는 게 검은콩이다. 검은콩은 밥밑콩으로 많이 이용되고, 콩자반, 콩강정, 두유, 청국장으로도 널리 이용된다. ■ 유래 서리태 검은콩은 서리를 맞은 뒤에 수확을 한다고 해서 '서리태'라고도 불린다. 속청 또한 겉껍질은 검지만 속은 녹색을 띤다고 해서 '속청'이라고도 불린다. ■ 영양성분 검은콩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비타민E 카로티노이드, 사포닌, 안토시아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겉껍질의 수용성 플라보노이드 색소인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물질로 노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예로부터 검은콩이 탈모예방에 좋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모발 성장에 필수적인 Cysteine(시스테인)이 풍부하여 꾸준히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검은콩에는 라.. 더보기
로컬푸드의 장점&단점 로컬푸드는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장점이 된다. 일단 생산자 입장에서는 첫째, 유통구조가 짧아져서 판매가 편리하다. 둘째, 소비자와의 소통이 피드백이 빠르다. 셋째, 소량의 농산물도 판매가 가능하다. 넷째, 지속적인 영농이 가능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첫째, 신선하고 안전한 우리 지역의 먹거리를 손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둘째, 유통과정이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 셋째, 실명제로 판매가 되므로 안전한 먹거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높다. 넷째, 소량 포장도 가능하기에 선택권이 높다. 단점 생산자 입장 첫째, 생산부터 포장 출하까지 모든 과정을 농민(출하자)가 책임져야 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노지에서 생산되는 작물은 타출하자와 경쟁이 심해 가격이 폭락하기도 한다. 셋째, 진열도 .. 더보기
나도 "로컬푸드직매장"에 출하 하고 싶어요! 로컬푸드 직매장에 내가 키운 각종 농산물을 판매하고 싶다면, 일단 해당 농협의 로컬푸드 직매장 담당자에게 해당 농협의 출하약정에 해당하는지 먼저 해 보시길 추천한다. 출하약정 후 기본 교육을 이수(분기 1회 이상 또는 연 1회 이상 실시 함) 하고, 농산물을 생산하게 되면 안정성 검사를 받게 된다. 친환경 인증 농산물인 경우는 생략이 되기도 한다. 안정성 검사는 해당 농협에 따라 순서가 바뀌기도 하고, 혹은 랜덤으로 하기도 한다.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운영하는 작업장이나 생산농가에서 규격에 맞춰 제작된 로컬푸드 포장지로 직접 농산물을 선별 포장하여 직매장에 가져 가서 본인이 직접 농산물 등록 바코드를 출력해서 부착 후 농협 매장 내 마련된 로컬푸드코너에 출하한다. 이때 가격 책정은 도매시장 가격을 참고하거.. 더보기
로컬푸드란? 로컬푸드(local food)라는 단어를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보거나 들어 보았을 것이다. 특히나, 지역 농협마트에 가게 되면 매장 일부분에 따로 마련된 로컬푸드 매장이라고 마련된 공간이 곳곳에 보일 것이다. 로컬푸드는 그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장거리 수송과 중간의 유통단계를 거치지 않은 그 지역 내에서 생산된 농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범위는 그 나라의 실정이나 사람마다 다르게 규정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행정구역상 도(道 / 길 도), 시(市 / 저자 시), 군(郡 /고을 군) 등 경계 내로 정하는 것이 일반 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사항 나라별 공간 범위 영국(U.K, United Kingdom, 英國) : 반경 48km 이내-(출처 : National Associa.. 더보기

반응형